본문 바로가기

LIFE/편집장의 편지

미디어 2.0 시대, 달라진 소통 | 편집장의 글


통하고자 하느냐, 진정

뜨거운 여름을 더욱 뜨겁게 했던 베이징 올림픽이 끝났다. 이번 올림픽에서는 휴대폰과 인터넷 등이 보다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하면서 더욱 열정적으로 축제를 즐길 수 있었다. 경기는 실시간으로 문자중계 되었고, 네티즌들은 선수들의 응원방을 만들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나갔다. 미디어 2.0 시대, 소통의 도구와 방식의 진화가 이끌었던 재미이다. 얼마 전, 기본요금을 바꾸고 나서 한 달에 휴대폰 요금이 2만원도 안 나온다고 했더니, 저렴한 기본 요금제를 칭찬하려던 나의 원래 취지는 간 곳 없이 “그러니까 전화 좀 해라!”라는 지인들의 잔소리를 들어야 했다. 휴대폰으로 통화하는 것보다 얼굴 보고 만나는 것이 더 좋은 내게, 휴대폰은 아직 만나기 위한 약속을 정하는 수단인가 보다. 그러나 휴대폰이 없던 아날로그 시절, 우리가 소통을 하지 못했던 것도 아니요, 모든 국민이 휴대폰을 갖고 있는 지금, 소통이 매우 잘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라는 것은 잘 안다. 우리가 진정 찾아야 할 소통의 진정한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 무슨 도구로 소통하느냐보다는 무엇을, 어떻게 소통하느냐가 더 중요한 것 아닐까. 그럼에도 오늘, 우리가 달라진 소통의 방법과 도구의 진화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디어 2.0 시대의 도래는 단순히 도구나 방법의 문제가 아닌, ‘삶과 가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편리한 생활, 기술의 발전, 트렌드와 유행의 차원을 넘어서, 개방하고 참여하고 소통하려는 의지로 구체적인 대안을 만들어나가는 실제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국사회를 들끓게 했던 촛불집회를 통해 바로 그 역사적 상징의 현장을 목도했다. 웹에서 광장으로,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이어진 촛불은 각자 별개였던 개인을 서로 연결하여 세상을 바꾸고 정책을 변화시키는 힘으로 작용했다. 휴대폰과 노트북, 무선인터넷 등의 도구를 사용하는 똑똑한 군중들은 조화롭게 행동하며 이전에는 결코 가능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협력했다.
이명박 정부가 ‘쇠고기 사태’를 겪으며 소통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역사상 최고였다는 찬사를 받았던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의 순서 곳곳이 ‘짝퉁’이었다는 보도는 그 감동을 물거품이 되게 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시대를 관통하는 소통의 속성은 바로 ‘진정성’이다. 미디어 2.0 시대, 이제 기술의 진보를 넘어서 소통의 가치와 진정성을 담아내는 도구로 ‘지속가능한 세계’를 만드는 것이 우리 교회의 과제가 아닐까. 아날로그적 삶의 미덕은 간직하고, 디지털적 소통의 도구는 인간답고 성숙하게 사용해야 하는 시대, 우리는 이미 그러한 세상을 살고 있다.

노영신|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