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을 읽다/TV 상자 펼치기

<고쇼GO Show>, 진심과 상황극 사이


고현정의 <고쇼>가 일정 정도의 성공을 거두고 있다. 지금대로라면 어쨌든 조기 종영 사태는생기지 않으리라고 보인다. 그동안 특정 스타를 내세운 토크쇼들의 성적은 대단히 좋지 않았다. <박중훈쇼>도 그렇고 <주병진 토크콘서트>도 조기종영의 신세를 면치 못했다. 그에 비하면 <고쇼>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다. 
그렇다고 대단히 안정적인 기반을 잡았느냐 하면 그건 또 아니다. 아주 참패할 수준은 넘어섰다는 정도이지, 확실한 성공이라고 하기엔 아직은 불안하다. 요컨대 <고쇼>의 초반 성적을 정리하자면,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 정도다. 

절반의 성공을 가능케 한 것은 상황극이란 설정이다. 사실 어떤 사람을 초대해서 그 사람에게서 재미도 있고 감동도 있는 이야기를 끌어내는 게 쉽지 않은 일이다. <박중훈쇼>나 <주병진 토크콘서트>는 그런 이야기를 전해주지 못해서 관심을 끌지 못했다. 또 이런 토크쇼들에는 <강심장>이 주는 것과 같은 자극성도 없었다. <고쇼>는 이런 어려움을 상황극으로 돌파하고 있다. 
초대 손님을 진행자들이 심사하는 오디션이란 상황극이다. 여기서 정형돈이 최적의 위치를 찾았다. 정형돈이 누군가? 바로 대한민국 최고의 상황극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서 잔뼈가 굵은 사람이다. 상황극이라면 따라올 자가 없다. 사실 정형돈은 그동안 토크쇼 진행자로서 뚜렷한 능력을 보여주진 못했었다. 하지만 상황극이라는 설정이 정형돈에게 날개를 달아주고 있다. 
거기에 <라디오스타>의 윤종신과 <강심장>의 김영철이 가세해서 토크의 왁자지껄한 재미가 살아났다. 이것은 <박중훈쇼>나 <주병진 토크콘서트>에는 부족하던 ‘자극성’이란 강점을 <고쇼>에 만들어주고 있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절반의 실패를 가져온 것도 바로 상황극이다. 상황극이란 건 억지로 꾸며진 쇼를 뜻한다. 그것이 우스꽝스럽기는 한데 문제는 거기에 진심이 없다는 데 있다. 
토크쇼는 단지 자극적인 재미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출연자의 진심 어린 이야기가 나올 때 시청자가 때로는 공감하고 때로는 감동한다. 바로 이 점이 토크쇼의 진정한 매력이다. <무릎팍 도사>가 이 시대 최고의 토크쇼로 자리매김한 것은 자극성과 함께 바로 이런 진정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황극에선 이런 이야기가 나오기 어렵다. 출연자들이 돌아가며 심사위원들에게 자신을 어필하는 상황극이기 때문에, 주로 자극적인 개인기들로 시간이 소모되기 십상이다. 이러면 재미가 어느 정도 있긴 하지만 진심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고쇼>가 살아나려면 아예 <강심장>처럼 판을 확 키워서 자극성의 극단을 추구하든지, 아니라면 출연자의‘ 진심’이라는 토크쇼 본연의 매력을 찾아야 한다. 후자를 택하려면 진행자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 대목에서 고현정이 MC로서 중심을 잡아주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현정이 대화를 주도한다기보다 그때그때 리액션을 보여준다는 느낌이다. 프로그램 전체가 고현정의 반응에 지나치게 주목하고 있다. 고현정은 반응을 보여주는 사람이 아니라 반응을 이끌어내는 진행자가 되어야 한다. 고현정이 중심을 잡고 제대로 된 이야기를 이끌어낼 때, <고쇼>가 토크쇼로서 완전히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하재근| 날라리의 기질과 애국자의 기질을 동시에 타고났다. 그래서 인생이 오락가락 이다. 어렸을 때 잠시 운동권을 하다, 20대 때는 영상 일을 했었고, 30대 초중반부터 다시 운동권이 됐다가, 요즘엔 다시 날라리로 돌아가 대중문화비평을 하고 있다. 때때로 책도 쓰며 인터넷 아지트는 ooljiana.tistory.com 이다.